-
[주식] [삼성전자 종목분석] 중국 반도체 제재가 호재일까요? 이슈 분석주식 종목분석 2018. 11. 1. 11:51
※본 포스팅은 위 영상을 타이핑하였습니다
반갑습니다. 절제주식투자연구소 전문가 절제의 신입니다.
오늘 삼성전자 실적 발표를 하고, 컨퍼런스 꼴 이후에 주가가 빠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1.5% 가까이 빠지고 있는데, 실적 잘 나왔습니다. 잠정 실적 대비 확정 실적이 거의 1,000억 대비 상승한 걸로 나왔구요. 생각보다 좋았던 사업부는 OLED 사업부 디스플레이 쪽이 확실히 좋았던 거 같구요. 반도체는 좋게 봤었는데, 역시나 그것보다 더 좋았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더 많이 안 좋았던 건 모바일이 특히나 안 좋았구요. TV랑 가전은 딱 예상치대로 나온 것 같습니다. "모바일이 2조 5천 억 정도 예상했었는데, 2조 2천 억 발표했더라구요. 그 부분을 상쇄한 것이 디스플레이 쪽이었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아요.
"그런데 이번에 호실적 발표를 하고 왜 빠지냐." 컨퍼런스 꼴 하고 나서 주가가 빠지는데, 너무 미꾸라지 같은 대답을 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명확한 답변이 없고, 시장의 궁금증을 해소시키지 못했다. 저는 그렇게 보여지는데, 일단은 폴더블 관련해서 질문이 있었는데, 출시 시기도 정확하게 이야기 안 하고 완성도 측면에서도 전혀 언급이 없었던 것 같아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아닌가, 자신감 없는 톤 다운된 이야기로 들렸거든요. 폴더블은 출시가 예상보다 지연될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들구요. 그리고 모바일 쪽도 정확하게 딥변이 없었던 것 같아요. 반도체 같은 경우, 설비투자 이야기가 명확하지 않았고, 어떻게 대응하겠다든지 얼마나 축소한다든지 이런 이야기가 있었으면 시장에서 자신감을 가졌을 텐데, 그런 부분이 빠져있었던 것 같구요. 그리고 수요 측면에서 고객의 재고 축적이나 이런 부분도 시장에서 계속 나왔던 이야기, 다시 한번 언급한 정도 수준의 답변이었다. 이렇게 보여집니다. 그래서 올해 4분기와 내년 상반기가 어느 정도 가격조정 있을 것인지 이야기해 줬으면 좋았을 건데, 레인지라도 이야기하면 좋았을 건데, 그런 부분이 아시웠다고 보여지구요. 그로 인해서 실망매물이 나온 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런데 하나 좋았던 건, 삼성전자가 이번에 특별 배당 발표를 했죠. 30일까지 보유한 주주들에게 한 20일 정도에 배당이 나갈 겁니다. 1주당 350원 정도. 0.8% 정도의 특별 배당이 나가는데, 이런 점은 주주환원 정책에 있어 굉장히 긍정적이라고 보여지구요. 반도체로 돈을 많이 벌다 보니까 그만큼 현금이 많이 쌓이고 하다 보니까 곳간에서 인심 나는 것 같습니다. 이런 측면은 분명히 호재성 재료라고 판단되구요. "반도체 회사들, 삼성전자뿐만 아니라 SK하이닉스도 이런 횡보는 지속될 것이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정부가 푸젠진화 반도체 제재를 하면서 "우리나라 반도체가 수혜를 볼 것이다."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이거는 단기성 재료는 분명히 아니에요. 중장기 소재입니다. 왜 단기성 재료가 아니냐면, 푸젠진화 반도체 회사가 지금 시장에 D램을 공급하고 있으면 미국 기업의 제재는 엄청난 호재죠. 가격 상승을 만들 수 있고, 공급에 제한이 걸리니까 분명히 호재입니다. 근데 푸젠진화 반도체 회사가 D램 공급하는 게 없잖아요. D램 실체도 몰라요. D램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아무도 몰라요. 중국 정부만 알고 있겠죠. 아무도 모릅니다. 왜냐하면 드러난 게 없으니까요.
이번에 랜드는 한 번 중국에서 기술개발 발표했었잖아요. 근데 양산은 아직 못 들어갔지만 어쨌든 실체가 드러난 것 아닙니까. "그러면 양산은 시간이 지나면 들어가겠구나." 예상은 가능한데, 이거는 뭐 아무것도 없단 말이에요. D램이 몇 나노급을 계획하고 있는지. 계획은 20나노급 한다고 하는데, 제가 봤을 땐 너무 어렵습니다. 거의 30나노급이나 될까 싶은데요. 그마저도 실체가 없다는 거죠. 그래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단기적으로 수혜 볼 수 있거나 이런 건 1도 없다." 그렇게 보여지구요. 또 이게 왜 우리나라 기업들에게 영향이 없냐면 30나노급 D램 을 만약에 얘네가 양산 들어가서 시장에 공급한다 그래도 그거 갖다 쓸 곳도 없어요. 왜냐하면 우리나라 기업이 훨씬 더 좋고 저렴하게 공급이 가능한데, 누가 더 비싸고 안 좋은 걸 쓰겠습니까. D램은 저런 거 쓰지도 않거든요. DDR3 만드는데, 지금 쓰겠습니까? 안 된단 말이에요. 그런 측면이 있기 대문에 걱정할 것도 아니에요. 근데 다만, "저기까지 진출하면 이제 점점 나아갈 수 있겠구나." 이런 우려감이 있고, 그것이 이제 센티멘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거죠.
반면에 랜드같은 경우 지금도 2D를 쓰는 곳도 있구요. 32단 이번에 중국에 제품 개발했는데, 그거는 시장에 나오면 쓰일 곳이 있거든요. 저사양 제품에는 랜드가 그 정도 들어가고, 지금도 시장에서 쓰이니까요. 그래서 범용제 제품에는 충분히 들어갈 수 있다. 그러면 이제 시장에서 공급 증가 역할을 할 수 있는 거죠. 거기에 따라 가격 하락이 나올 수 있는 거구요. 랜드는 그게 가능한데, D램은 그게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D램 회사에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보여지구요. 근데 다만 최근에 시장 대비 반도체 기업들이 굉장히 잘 버텨주고 있는데, 10월 시장 너무 어렵지 않았습니까. 모든 기업들이 다 폭락했는데요. 그나마 반도체 기업들이 선방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일단 펀더멘터리 워낙에 좋구요. 정말 타이트한 밸류에이션까지 내려왔구요. 그리고 이번에 D램 익스체인지에서 모바일 고정가격, PC 고정가격 발표를 했는데 예상치보다 적게 떨어지는 걸로 나오고 있습니다. 시장예상치는 지금 4분기에 5% 정도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데, 거의 2% 미만으로 나오고 있거든요, 평균치가. 이런 부분들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면서 반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부분들이 저가매수를 유입시키고 있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결국은 펀더멘털이고 실적입니다. 그래서 여기에 초점을 맞추시구요.
다만 이제 중장기적으로 "미국이 중국의 기업들 제재, 하이테크 기업들 제재는 이것이 끝이 아니라 이것이 시작이다."라는 걸 인지하고 계셨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우리나라 제조 기업들이 상당 기간 수혜를 볼 것이다."라고 보여지구요. 제조 2025는 제조 2030으로 지연될 수 있다고 누차 언급했었지 않았습니까. "그것이 현실화될 수 있고, 그 근거가 하나둘씩 발생하고 있다." 정도로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들 긍정적으로 보시구요. 반도체 회사들, 장비나 소재 기업들은 피해도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잘 보셔야 될 것 같구요. 미국 기업들과 글로벌 기업들 있죠. 그들과 우리나라 기업, 장비 회사가 경쟁하는 업체들은 수혜를 볼 것이구요. 그렇지 않은 것들은 중국 반도체 증설 지연이나 아니면 중국 반도체 시장 진출 지원으로 피해를 볼 수도 있는 거죠. 왜냐면 우리나라 거기에 공급하는 업체들도 있을 거니까. 그래서 "얘네는 옥석이 가려지지 않을까." 그렇게 보여집니다. 구분해서 보셨으면 좋겠고, "종합 반도체 회사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게는 중장기적인 호재다." 근데 단기성으로 지금 당장 주가를 끌어 올릴만한 모멘텀은 아닌 것 같습니다.
아무튼 시장이 굉장히 어려운데, 종목선별 잘해야 될 것 같구요. 팁을 이야기해 드리자면, 중국 관련주 중에서 화장품주들 굉장히 많이 빠졌죠. 조심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아모레피시픽같은 경우는 올해 실적 성장이 거의 10%도 안 나오는데, 지금 '상하이자화' 중국 화장품 회사 있죠. 올해 40% 성장하고 있거든요. 그 정도로 우리나라 화장품 특히 저가 화장품 회사들 입지가 좁아지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현대차 꼴이 나는 거죠. 중국 쪽 자동차 회사들은 커지는대 현대차만 지금 매출 성장이 나오지 않고 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니까 화장품 기업들 조심할 필요가 있을 것 같고. 아모레퍼시픽은 주가 빠졌을 때 절대 매수하면 안 된다고 이야기했었죠. 그 영상 올려드린 거 있지 않습니까. 조심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시장 많이 빠졌을 때 많이 빠졌다고 사지 마시구요. 많이 빠진 종목 중에 업종, 업황 잘 선별해야 될 것 같아요. 지금 괜찮고, 내년에도 견조한 업황 예상되는 기업들 쪽으로 접근해야 될 것 같습니다. 상하이자화 같은 경우는 우리나라로 치면 중국판 아모레퍼시픽 같은 회사예요. 제일 최초로 화장품 마든 회사고 수십 년 된 회사요. 그런데 이 회사가 이정도 실적 성장이 나온다는 건 분명히 어딘가 빠지고 있다는 이야기 아니겠습니까. 그러니까 잘 봐야 된다는 거죠. 그리고 제가 중국 관련주 중에서 JYP 탑픽으로 이야기했었죠. 중국 증시 이야기하면서 JYP 제가 이야기하고, 어제 7% 반등 나오더라구요.
'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패스신소재 종목분석] 18년 11월 06일 (0) 2018.11.06 [주식] [코스닥 종목분석] 상승이 제한적인 코스닥 지수! 대비하자 (0) 2018.11.02 [주식] [KB금융 종목분석] 고점 논란은 반도체가 아니라 은행주 이야기?? (0) 2018.10.31 [주식] [SK하이닉스 종목분석] 누가 반도체 고점 논란이래? 10월 수익률 방어 1위 반도체! (0) 2018.10.31 [주식] [중국관련주 주식분석] 코스피 종목별 변화 포착! 시장 대응 (0) 2018.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