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파미셀 종목상담] 18년 11월 19일
    주식 종목분석 2018. 11. 20. 08:16


    ※본 포스팅은 절제주식투자연구소에서의 종목상담 내용입니다.

     

     

    안녕하세요. 절제주식투자연구소 연구원입니다. 파미셀을 고민하시는 고객님께 상담해 드렸습니다.

     

     

    종목명 파미셀 / 평단가 15,600원 / 투자금 20,000,000원 / 비중 30%

     

    관련주 : 메디포스트 / 안트로젠 / 코아스템

     

    [기사] 파미셀, 발기부전 줄기세포치료제 1상 성공완료...

     

    이런 호재는 이미 주가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임상 2상, 3상 발표 때마다 상승 크게 나오겠죠. 연구개발은 좋습니다. 파이프라인도 안정적으로 늘어나고 있어서 긍정적이라면 주가도 그만큼 올라가겠죠.

     

     

    성장기인 최근 1년 파미셀의 흐름에서 이미 호재는 다 반영된 겁니다. 동시에 언제든지 주가가 직전 최저점을 위협할 수 있다는 소리이기도 합니다. 고점이 높아질지 추세 하락할 지는 차트로 설명할게요. 추세 체크가 중요하다고 했죠. 주가 주기가 짧아서 언제든지 급등, 급락 가능합니다.

     

     

    파미셀 차트입니다.

     

     

    줄기세포 기대감에 버블이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래서 지금은 차트 매매가 중요합니다. 지금 주가는 지지선 구간(13,500원 접점)입니다. 언제든지 위나 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자리죠.

     

     

    11월 19일 이후에 13,500원이 깨지면 강한 하락이 나올 겁니다. 11,700원 이탈되면 직전 최저점인 10,000원으로 가려 하겠지만, 거기서도 주의해야 합니다.

     

     

    저는 위 자리를 깰 거라 봅니다. 10,000원을 깨면 어디까지 빠질 수 있는지 예측했을 때 7,000원 대까지도 가능합니다.

     

     

    V자로 틀어서 상승한다면 13,500원 이탈 없이 16,500원을 소화하겠죠. 종목 변동이 커질 구간입니다. 의미 있는 상승이기 때문에 계속 올라갈 수 있는 구조입니다. 종목 자체가 지금은 호재보다는 차트 예측을 꼭 해야 합니다. 언제든지 중단기 7,000원 대까지 하락은 가능하고 중단기 고점 형태의 매물 소화는 10,000원 대 후반까지도 열려 있습니다.

     

     

    회원님의 평단가는 기업을 믿고 안전하게 대응할 금액이 아닙니다. 이 종목을 가지고 평단가 관리를 한다면 최저점 구간에서만 대응해야 되고요.

     

     

    최근 10,000원 대 최저점을 기록했죠. 누군가는 저 자리에서 매수해서 오늘까지 단기간 내 40% 수익 중이겠네요.

     

     

    파미셀! 기술력 있어요. 기대감도 있고요. 이제 임상 시작 단계죠. 하지만 재무 안정 까지는 먼 미래예요. 적자인데 3~40,000원 가면 다 거품인 거죠. 초대 악재는 뭐죠? 개발이 늦어지는 겁니다. 임상실험 실패나 사업 철수 등 말입니다.

     

    지금은 12,000원 깨지면 매도로 대응할 구간입니다. 11,700원 이탈 시 차트가 무너지는 구간으로 7,000원 대까지도 빠질 수 있다고 봅니다. 현재는 10,000원을 기점으로 박스권 움직임 가능성이 높다 보세요. 1월 19일 기준으로 트레이딩만 유리한 형태입니다.

     

    바이오주 어설프게 하지 마세요. 초보는 대박을 꿈꾸며 매매하다 쪽박을 찹니다. 바이오주는 임상 1~3상까지 목표가나 지지선 같은 거 없습니다. 그냥 시장 변동 따라서 세력이 올라가면 올라가고 내려가면 내려가는 거죠. 또한 10%의 가능성에 배팅하는 게 바이오주입니다. 그래서 바이오주 매매하는 분들은 임상단계 체크와 기술력 체크가 꼭 필요합니다.

     

    투자의견 : 13,500원 이탈 없이 15,000원 이상으로 올라갈 시에만 홀딩. 그 후 최대한 수익으로 끌고 가는 전략.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