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SK하이닉스 종목분석 1편] 글로벌 IT 고점 논란 재부각? 새로운 악재 발생!주식 종목분석 2018. 9. 7. 13:18
※본 포스팅은 위 영상을 타이핑하였습니다.
어제 IT 기업들 위주로 나스닥지수가 하락했기 때문에 IT 기업들의 투자심리가 위축되었습니다. 먼저 러시아 스캔들 관련해서 트위터 경영진이 의회에서 증언했는데, 개인정보 보안 관련해서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즉 비용 증가 우려로 인한 하락이 첫 번째 이유입니다. 그리고 그동안 SNS 기업들에 대해 비난을 해왔던 트럼프가 어제 또 언급하기도 했고, 미 법무장관이 SNS 규제 필요성 관련 발언을 하면서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차익실현의 빌미를 제공했습니다.
여기에 또 어제 하나의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IT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건설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데, 클라우드 서비스도 증설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에도 막대한 비용의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만약 무역분쟁으로 인해 무역 관세를 부과하게 된다면 여기에 관련된 비용이 전체적으로 올라갈 수 있다는 결과입니다.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데 수많은 금속과 케이블이 들어갑니다. 무역분쟁은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니 비용이 올라가는 건 당연한 일입니다. 같은 맥락으로 데이터센터를 짓는 비용이 늘어나고 SNS 기업들, 클라우드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기업들의 비용 증가 우려가 또 부각된다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그러면 투자심리도 위축되고 고용이 둔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로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알리바바 등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의 주가가 많이 빠졌습니다. 결국 인터넷 기업들과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은 물론 그로 인한 IT 하드웨어 기업들과 데이터센터 들어가는 CPU, GPU, 반도체 기업들까지 전체적으로 하락했습니다.
저는 이것이 새로운 악재가 아닌 차익실현으로 보고 있습니다. 최근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도 마찬가지로 저점 대비 반등도 나왔고, 지금 언급하고 있는 클라우드 기업들은 대부분 신고가라는 면에서 어느 정도의 하락은 나올 수 있습니다. 또 무역분쟁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인 만큼 밸류에시션을 느끼고 있다고 해석하면 됩니다. 그런데 그냥 빼기는 어려우니까 명분을 찾고, 빌미를 제공하는 겁니다. 그로 인해 오늘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하락을 보였는데, 다 똑같은 이야기로 하락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런 하락은 과하다고 생각합니다.
SK하이닉스는 기준 75,000원, 삼성전자는 기준 44,000원 아래로 내려가기는 어렵다고 보며 추가 하락이 나올 가능성은 없다고 봅니다. 우선 무역협상의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이 높아졌습니다. 그리고 트럼프의 중간선거를 앞두고 있다는 점입니다. 선거가 11월 초인데, 10월에는 무역분쟁이 불거지는 것보다는 잔잔하게 흐르는 게 트럼프 입장에서도 좋을 것입니다. 그래서 9월에는 무역분쟁 이슈가 거의 정점을 찍지 않았나 싶습니다.
또 달라진 부분으로는 23일 미-중 차관급 회담이 이루어진 이후로 중국 외신에서는 중국과 미국이 계속 대화를 하고 있다며 보도한다는 점입니다. 이에 트럼프는 중국과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면서 뒤에서는 시진핑과 좋은 관계이고, 존경한다는 말을 합니다. 이전에는 중국을 압박하며 굴욕적인 합의를 받아내려고 했는데, 지금은 당근과 채찍을 사용하는 등 중국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습니다. 마찬가지로 중국도 한발씩 양보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위안화 절상, 금융시장의 개방화 등 미국이 요구하는 부분들을 차차 들어주려고 합니다. 여기서 중국 외신에 의하면 지적재산권 강화도 꾸준히 언급하며 강조하고 있습니다. 실제 중국 기업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미국이 제시한 자국 산업 보호 정책으로 인해 보조금 축소가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그로 인해 투자하기가 쉽지 않을 뿐더러 보조금 받기가 힘드니 경쟁력 없는 기업은 더욱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특히 분쟁에 있어서도 무시하고 자국 기업에 손을 들어줬었는데, 지금은 그것이 쉽지 않은 분위기라 최대한 피하는 상황으로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우리나라 제조 산업들은 더욱 긍정적으로 보입니다.'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SK하이닉스 종목분석] 반도체 고점 논란! 반등 시점을 알아본다! (0) 2018.09.10 [주식] [삼성전자 주식분석 2편] 글로벌 IT 고점 논란 재부각? 새로운 악재 발생! (0) 2018.09.10 [주식] [GKL 강원랜드 종목분석 2편] 카지노 산업의 이해! 미시적 거시적 관점! (0) 2018.09.06 [주식] [파라다이스 주식분석 1편] 카지노 산업의 이해! 미시적 거시적 관점! (0) 2018.09.06 [주식] [중국증시 주식분석] 지금 상황에 이보다 좋은 종목이 있을까? (0) 2018.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