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현대글로비스 종목상담] 18년 11월 14일
    주식 종목분석 2018. 11. 14. 15:40

     

    ※본 포스팅은 절제주식투자연구소에서의 종목상담 내용입니다.

     

    안녕하세요. 절제주식투자연구소 연구원입니다. 현대글로비스를 고민하시는 고객님께 상담해드렸습니다.

     

     

    종목명 현대글로비스 / 평단가 129,000원 / 투자금 15,000,000원 / 비중 25%

     

    관련주 : 현대차 / 기아차 / CJ대한통운 / 한진 /  세방 / 유수홀딩스

     

    현대글로비스는 현대차 계열의 자동차 전문 물류 기업입니다. 일단 저는 이 회사에 대한 기대감은 적습니다. 현대차와 기아차 영향을 많이 받는 기업이고, 해당 기업들의 매출 감소로 인해서 현대글로비스 또한 매출 흐름이 축소되고 있습니다.

     

     

    현대글로비스에 투자한다는 건 현대차에 투자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현대차의 해외생산 및 판매증가 시(판매량이 높은 미국 등에서 판매 수요가 높아진다면) 현대글로비스 또한 따라가겠죠. 현대글로비스는 현대차 등 운송수요에 대한 이익을 먹는 물류 기업인데 현재는 현대차 자체의 기대심리 및 매출 흐름이 너무나 부정적입니다. 3년 동안 재무제표를 조면 매출 성장보다는 유지하는 모양세입니다. 침체되어 있어요.

     

     

    보수적으로 박스권 매매만 하는 게 안전합니다. 차트로 과거 고점만 보며 [저 정도 가겠지!] 이게 아니라 현재 기업의 재무나 실적변수에 따라서 최저점으로만 매수해야 합니다. 박스권 상단에서 매도하려는 단기 포지션을 취하는 게 안정적입니다.

     

     

    해당 기업을 잘 매매 하려면 하늘색 밴드 아래 115,000원 이하 평단가를 보유해야 리스크가 적습니다. 반대로 단기 박스권 상단인 130,000원 정도에서는 비중을 줄이는 전략을 쓰세요.

     

    회원님께서는 129,000원에 매수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비싸게 산 거죠. 현재는 120,000원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언제든지 110,000원대로 올 수 있어서 고점이 오면 일단 매도하는 게 좋다고 봅니다. 현대차와 기아차 등이 완성차 판매가 늘어나는 추세로 바뀐다면 최고점은 170,000원입니다.

     

     

    하지만 어렵게 170,000원으로 끌고 가는 전략보다는 현실적인 목표가를 150,000원대로 설정하세요. 저는 200,000원대는 현재 구조상 절대 갈 수가 없다고 봅니다. 만약 가더라도 200,000원대 위에서 매수하는 사람은 훗날 리스크가 엄청나게 클 겁니다. 현재가 123,000원인데, 여기서 130,000원대로 돌파시도가 나오면 본전에 정리하고 110,000원대에서 다시 잡는 게 확률적으로 안전합니다.

     

     

    반대로 현대글로비스의 종가가 130,000원대에 안착을 한다면 170,000원대로 갈 확률이 커집니다. 하지만 저 정도 고점이 나오려면 엄청난 호재가 있을 때만 가능하겠죠. 현대차와 기아차가 잘 팔리고 물류사업이 대박 나면 갈 수 있지만, 제가 보는 현실적인 고점은 150,000원 정도입니다. 하지만 현재 시장 분위기상 반년이 걸릴지 1년 이상이 걸릴지 모르기 때문에 업황을 지속해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상당히 무겁습니다.

     

    저희 VIP 회원분들은 이런 종목 절대 추천 안 드립니다. 드릴 수도 없죠. 수익이 날만 한 종목을 드려야 하는데, 기본적인 분석부터 기술적, 업황까지 모두 안 좋은 회사를 어떻게 추천드리겠습니까? 주식은 도박이 아닙니다. 철저한 분석으로 승리하는 게임이죠. 연락 주세요. 그래야 함께 웃을 것 아닙니까?

     

    투자전략 : 평단가 129,000원은 단기적으로 비싼 가격. 본전에서 매도. 재매수를 원한다면 110,000원대에서 박스권 하단인 100,000원 구간까지 분할로 모을 것. 하지만 종목이 무겁고 해당 업황이 상당히 부정적이라 보수적으로 판단 필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