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OCI 종목상담] 18년 11월 14일
    주식 종목분석 2018. 11. 15. 10:23

     

    ※본 포스팅은 절제주식투자연구소에서의 종목상담 내용입니다.

     

     

    안녕하세요. 절제주식투자연구소 연구원입니다. OCI를 고민하시는 고객님께 상담해 드렸습니다.

     

     

    종목명 OCI / 평단가 97,000원 / 투자금 30,000,000원 / 비중 70%

     

     

    OCI의 차트를 보면 1년 기준에서는 약세 흐름을 보입니다.

     

     

    분기 기준에서는 횡보 흐름을 보입니다.

     

     

    월봉 기준에서는 단기조정 흐름을 보입니다.

     

     

    OCI는 세계 3개 폴리실리콘 태양전지 원료 제조업체입니다. OCI를 비중 70%나 매수하셨어요. 부담스럽습니다. 나름 이 회사가 좋다고 생각해서 97,000원에 70%나 매수하신 거죠.

     

     

    2주 전 10월 증시 쇼크로 인해서 많이 빠진 건 맞습니다. 하지만 80,000원 대까지는 언제든지 올 수 있어요. 그러면 지금은 어떤 부분이 중요할까요? 꼭 이 회사를 매수해야 할까? OCI 투자 포인트는 대체에너지 수요 증가입니다. 고유가를 대비한 태양광 미래 에너지 관련업입니다. 고유가 시대에 유가가 부담스러우면 대체에너지인 태양광산업으로 관심을 돌리겠죠.

     

     

    지금은 어때요? 유가마저도 폭락하죠. 저유가 시대로 가고 있습니다. OCI는 유가가 비싸야 호재입니다. 그래야 태양관 산업에 더 투자할 거고 그 재료 공급으로 수익을 보는 종목입니다. 그러면 현재의 유가 하락은 OCI에 안 좋은 거죠. 누가 에너지를 아끼려 비싸게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겠습니까? 그냥 쉽고 싸게 구할 수 있는 에너지로 해결하려 할 겁니다.

     

     

    OCI의 주가가 내리는 이유는 조정이 아닙니다. 전형적인 시장매출 감소 및 이익감소예요. 기업 외형은 커졌는데 순이익률이 빠지는 거 보세요. 양날의 칼을 갖고 있어요. 수출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달러 강세 시 수익을 볼 수 있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유가 하락으로 인해서 태양광 업황의 약세죠. 결국 이 종목을 매수 할 수 있는 기준은 [실적향상 가능성이 있느냐?]입니다. 꼭 실적 보고 매매해야 합니다. 과거 고점은 무시하세요. 작년에 뜨거웠던 180,000원 대는 생각도 하지 마세요.

     

    아래는 기사의 일부분을 가져왔습니다.

     

    "2020년 말까지 중국 정부가 270GW의 태양광을 설치하기로 결정했다고 중국 현지 애널리스트들이 보도했다"며 "3분기 누적 중국의 태양광 설치랑은 170GW 전후로 추정되므로 향후 2년간 100GW의 추가 설치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

     

    보셨나요? 중국 내 매출비중이 높은 OCI가 태양광사업이 축소나 계획이 철회되면 대형 악재가 되겠죠. 즉, 부정적으로 경제가 꺾이게 된다면 OCI에 상당히 안 좋습니다. 만약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해서 경기 침체가기화한다면 중국은 태양광 산업에 공격적인 투자를 하지 않고 당장 석탄으로 대체하겠죠. 아니면  석유로 대처하던지 말입니다.

     

    개인적으로 OCI는 2018년 4분기 기준 투자 매력 5점 만점에 2점 정도 봅니다. 차트를 보면 싸서 매수하고 싶겠지만 업황을 보면 사면 안 되는 거죠. 전형적으로 차트매매만 하신다면 사고 싶은 구간이 맞습니다. 하지만 굳이 비중 70%까지 투자할 산업은 아닌 겁니다.

     

     

    지금 거래 형태를 봤을 땐 130,000원 위를 보기에는 다소 힘듭니다.

     

     

    60,000원~130,000원이라는 큰 박스권 안에서 중심 부근인 90,000원 아래로만 매수해야 합니다. 또한 시장의 리스크에 따라서 7~80,000원도 위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 그 정도는 쉽지 않죠.

     

     

    과거 60,000원 대를 횡보했던 2015년만큼 힘든 시기는 아닙니다. 60,000원 대까지 하락은 단기적으로 갈 수 없어요. 70,000원도 가기 힘들 겁니다. 그러면 현재 기준에서 최저점을 기록하고 있는 80,000원이 평단가를 맞추기 유리한 거죠. 80,000원 부근에서 매수 후 12~130,000원원 정도 오면 매도하는 게 맞아요.

     

     

    회사에 큰 미련 없이 기계적으로 매매하세요. 11월 14일 기준 91,000원을 깨고 내려가려면 비중 50% 줄이세요. 그리고 추가매수를 83,000원 정도에 하세요. 그래서 평단가를 90,000원 이하로 만들어보겠습니다. 반대로 오늘 기준 91,000원을 깨지 않고 100,000원 이상 가면 홀딩해도 되겠죠. 그러면서 제가 제시한 고점 부근까지는 끌고 가볼 만합니다.

     

     

    8~130,000원 박스권 안에서 움직일 것 같습니다.

     

     

    투자의견 : 매매 비중 80%인데, 업황이 좋지 않아 한 번 물리게 되면 그 시간만큼 기회비용을 날리는 것임. 본전 오면 비중 축소아 전량 매도를 추천. 굳이 투자해야 한다면 80,000원 부근에서만 추천.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