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주식] [아모레G 종목분석] 중국 관련주 급락에서 얻는 투자 아이디어!
    주식 종목분석 2018. 10. 5. 13:04

     

     

    ※본 포스팅은 위 영상을 타이핑하였습니다.

     

     

    반갑습니다. 절제주식투자연구소 전문가 절제의 신입니다.

     

    코스피가 1.5% 하락중이고, 외국인 선물이 9천 억 정도 매도가 나왔습니다. 선물은 4천 억 가까이 매도하고 있고, 홍콩항생지수는 1.6% 하락 중, 나스닥 선물이 0.5% 하락입니다. 코스피가 10월 들어서 이틀 동안 급락하고 있고 코스닥도 큰 폭의 하락이 나오고 있는데, 화요일에 하락했던 이유로는 매크로 이슈가 안 좋은 게 있던 것 같습니다. 중국 함정과 미국 구축함의 충돌 우려가 있었고, 무역분쟁 이슈가 군사전쟁으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들이 있었습니다. 거기다 터키발 금융주들의 신용등급 하락 즉, 신용등급 강등 이슈가 있었죠. 또 이탈리아 재정 리스크가 있었는데, 이탈리아의 경우 터키 금융주들에게 부태가 좀 있죠. 그러다 보니까 자극을 받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코스피와 코스닥이 하락이 나왔습니다.

     

     

     

    근데 저는 그것보다도 지난 화요일에 코스닥이 2.5% 하락한 이유가 제약바이오의 차익실현이었다고 보여집니다. 제약바이오 섹터들이 매도가 좀 많이 나왔던거죠. 왜냐하면 제약바이오는 실적 시즌에서 자신 있는 종목이 많지 않거든요. 그래서 시장 성격이 변하려하다 보니까 매도가 나온거죠. 그리고 폼페이오 방북 이슈가 나오다 보니까 남북 경협주들 쪽으로 자금이 이동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오늘 빠졌던 이유 중 하나로는 중국 쪽에서 미국산 원유 수입을 금지했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고, 9월 부터 대두 수입도 금지했다면서 중국이 강경하게 나오는 것 아니냐고 무역분쟁 이슈의 장기화를 우려한 것으로 봅니다. 근데 저는 오늘 빠졌던 이유가 그거는 사실 늘 있었던 악재이고,무역 분쟁 이슈가 지금 해결된 게 아니잖아요. 근데 화장품 관련주와 중국 관련주들이 오늘 급락하면서 투자심리를 악화시킨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니까 화장품주가 빠지다 보니 코스피가 많이 빠진거죠.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15% 가까이 빠지고 있습니다. 아모레G도 그렇고. 제가 화장품은 조심하라고 계속 이야기 했고, 보실거면 브랜드 위주의 화장품만 보라고. 중저가 화장품이 있는 회사들은 굉장히 어렵다고 말했었습니다.

     

     

    왜냐하면 중국 현지에서 중국 로컬 업체도 그렇고 우리나라 업체도 그렇고 진출을 많이해서 경쟁이 엄청 치열합니다. 아모레퍼시픽같은 경우 에뛰드, 이니스프리, 마몽드같은 저가 화장품 위주로 성장한 회사거든요. 근데 이게 진입장벽이 높지도 않고 화장품 산업이 중국 내 급성장하다 보니까 너도 나도 다 뛰어든거죠. 그리고 중국 일부 도시에서는 우리나라의 GDP를 넘을 정도로 부자들이 굉장히 많단 말이에요. 1인당 GDP가 우리나라 소득 수준보다 훨씬 더 넘어가니까요. 그리고 중국은 평균으로 따져도 1만불 시대에 진입했구요. 중산층이 4억 명 정도 되고, 여전히 사치품을 좋아하는 중국인들이고 그러다보니 제품들이나 화장품도 브랜드 위주의 고가 화장품을 많이 쓰고 있거든요. 그쪽 성장률이 90% 정도에 달합니다. 그래서 이쪽 관련주로만 봐야 되는데 우리나라에는 몇 개 없어요. 그러니까 화장품주들은 전체 산업으로 보면 그렇게 좋지 않은 상황인거죠. 그러니까 과거의 성장스토리는 이제는 더 나오기 어렵다. 중국인들이 많이 돌아오더라도 화장품주보다는 다른 중국 관련주들이 훨씬 좋을 것입니다. 이를테면 엔터쪽이나 미디어가 더 낫다는 거죠.

     

     

    오늘 화학이랑 철강이 많이 빠졌는데, 이유는 시진핑이 집권하면서 깨끗한 중국을 많이 강조했었습니다. 그러면서 철강 생산량 감축과 화학 기업의 생산량 감축을 했었습니다. 왜냐하면 배출가스가 워낙 높은 국가이다 보니까 환경 규제가 들어갔던거죠. 폐지 수입도 금지하면서 제지 업종도 급등하고 종이값도 올라가고 그러지 않았습니까. 근데 무역분쟁으로 인한 경제 둔화 우려감이 있다 보니까 깨끗한 중국에서 경제강국인 중국으로, 아니면 꾸준한 경제 성장중인 중국으로 바뀔 수 있다는 거죠. 그렇게 되면 철강 쪽에 다시 공급 과잉이 일어날 수 있고, 화학 쪽도 공급 과잉이 일어날 수 있고 그렇게 된다는 겁니다. 그래서 중국이랑 우리나라는 경쟁하는 업체들이 센티멘털과 시황이 좋지 않아진거죠. 그렇게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서 투자 아이디어가 뭐냐면 중국이 석탄발전소를 줄이면서 LNG(액화천연가스) 수입량이 많이 늘었거든요. 그러니까 천연가스로 대체해서 썼던 부분이 많습니다. 근데 이게 다시 돌아갈 수 있다는 거죠. 그렇게 되면 전 세계가 환경 규제가 많기 때문에 LNG 사용량들이 많이 급증했었거든요. 그래서 천연가스 가격도 급등이 나왔었구요. 근데 이게 경제 둔화가 일어나면 달라질 수 있나는 겁니다. 그래서 천연가스 가격 버블에 배팅해 보는 거죠. 그런 하방 배팅의 투자전략도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원유 가격도 반등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어제 원유 재고량이 급증했음에도 불구하고 반등이 나왔거든요. 이란발 악재도 있고, 수급악재가 있었단 말이에요. 그래서 원유 가격이 반등나오기도 하고 워낙 투기스러운 시장이다 보니 반등이 나왔는데, 이렇게 되면 원유 수입도 좀 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중국에 원유 수입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WTI 가격이 하락이 나올 수 있다는 거죠. 원유가 다른 쪽에서 대체될 수 있다. WTI 가격이 하락하지만 그것보다도 LNG에 초점을 맞춰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