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현대건설 종목분석] 건설주 모멘텀 발생! 펀더멘털의 힘주식 종목분석 2018. 9. 11. 10:03
※본 포스팅은 위 영상을 타이핑하였습니다.
남북경협주 중 현대건설이 올라왔습니다. 그 밖의 경협주와 시멘트 관련주, 대성공단 관련주들의 흐름이 좋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특징은 건설업 관련주들이 전체적으로 반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요? 이전에 현대건설 관련 이야기를 할 때, 경협 테마에 있어서 실질적인 수혜 종목으로 초점을 맞춰야 하는 부분, 그리고 건설업은 굳이 남북경협이 아니어도 펀더멘털이 좋아지고 있는 부분을 언급했습니다. 지금은 경협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영향도 분명이 있지만, 건설업 자체가 좋아지고 있습니다.2015년 대량으로 공급했던 물량과 2016년, 2017년에 공급했던 물량이 공급과잉으로 떨어지지 않겠느냐는 우려감이 있었고, 작년 8.2 부동산 대책 이후로 부동산을 사기가 어려워지면서 하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공급이 부족하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오히려 안정을 찾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고용시장이 매우 안 좋습니다. 정부 입장에서 이러한 실업률 하락을 가만히 바라만 볼 수는 없기 때문에 고용을 늘리기 위한 경기부양정책을 펼칠 수밖에 없습니다. 여기에는 인프라 투자만큼 좋은 게 없습니다. 국내 정책에 대한 기대감과 부동산 정책의 안정, 더불어 국내 주택시장과 해외 주택시장도 좋아지고 있지 않습니까.2018년에는 문제의 프로젝트들과 우리나라 주요 건설사들이 다 끝난다고 했었는데, 그런 부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건설주들에게 슈팅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대건설의 경우 직전 고점을 단숨에 뛰어넘는 반면, 현대로템은 이를 뛰어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금 건설사들이 반등을 보이는 이유는 경협이 반, 실제 업황의 턴어라운드가 반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올해보다 내년에 더 안정적이게 좋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주거 밀집 형태로 성장한 국가입니다. 우리나라가 고속 성장을 할 수 있었던 비결 중 주거형태가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오면서 해외에서는 국내 건설사들로부터 신도시 도입을 위한 주택 수주 요청이 많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그간 우리나라의 해외 건설사들은 플랜트 공사만 진행해 왔었는데, 앞으로 주택 수주가 더욱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유가도 안정적인 만큼 건설사들이 올라갈 수 있는 확률이 한둘이 아니기 때문에 전망이 기대됩니다.
한편 그전까지만 해도 핵을 내세우고 장거리 미사일이 업데이트되면 선보이는 등 군사 강국을 강조했던 북한이 지금은 그런 부분 하나도 없이 경제 강국을 내세움 자본주의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단히 큰 변화로 북한과 미국이 서로 원하는 게 같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애초에 북한이 핵을 개발한 이유는 조금 더 좋은 조건에서 시장에 나오기 위함이었는데, 미국 입장에서도 북한을 통해서 평화를 이끌어낸다면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그 방향성은 같기 때문에 조만간 트럼프 임기 내 성과가 나올 것이라 보며 장기적인 전망이 좋습니다.
단기적으로 보면 북미정상회담이나 폼페이 장관의 방북도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주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방북이 예정된 만큼 꿈도 있고 펀더멘털도 좋아지는 등 여러가지 기대감도 살아있는 상황입니다. 내수시장은 물론 해외시장에서도 긍정적이라는 점, 국가의 정부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 그리고 경협 및 정부 정책에 대한 테마와 실제 펀더멘털의 개선 등 다양한 부분에서 좋아지고 있는 건설사들, 관심 있게 보고 있습니다. 이런 종목들 같이 매매하고 싶으신 분들은 절제주식투자연구소와 함께 매매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호텔신라 종목분석] 메르스 사태는 투자기회! (0) 2018.09.12 [주식] [KODEX 레버리지 종목분석] 시장 저점에 대한 기대 조금씩 커지고 있다 (0) 2018.09.11 [주식] [SK하이닉스 종목분석] 반도체 고점 논란! 반등 시점을 알아본다! (0) 2018.09.10 [주식] [삼성전자 주식분석 2편] 글로벌 IT 고점 논란 재부각? 새로운 악재 발생! (0) 2018.09.10 [주식] [SK하이닉스 종목분석 1편] 글로벌 IT 고점 논란 재부각? 새로운 악재 발생! (0) 2018.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