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주 종목분석] 반도체주 장기적인 전망을 파헤친다!주식 종목분석 2018. 12. 21. 09:26
※본 포스팅은 위 영상을 타이핑하였습니다.
반갑습니다. 절제주식투자연구소 전문가 절제의신입니다.
이전에도 이야기했었지만, 지난 몇 년간 중국이 미국 기업들 견제했었던 시절이 있었잖아요. 중국이 미국의 하드웨어 기업들을 견제한 게 아니라 소프트웨어 기업들을 견제한 거거든요. 구글, 페이스북, 넷플릭스, 아마존을 못 들어오게 하고, 그러면서 만든 회사들이 바이두랑 아이치이, 텐센트, 알리바바 등의 기업들이잖아요. 그러고 나서 얼마나 많이 성장했습니까. 인터넷 기업들 폭발적인 성장이 나왔죠. 그러면서 텐센트가 아시아에서 시가총액 1등 기업이 된 거고요. 이렇게 국가가 견제한다는 건 그 산업들이 굉장히 큰 잠재력이 있기 때문에 견제를 하는 거예요. "구글에게 우리 시장을 내놓으면 큰일 나겠는데?" 이런 거죠. 페이스북에 내놓으면 우리 인구도 많고, 인터넷 산업 한 번 연결되어 버리면 끝나잖아요. 하드웨어 제품처럼 이거 샀다가, 다른 거 사는 게 아니라 카톡을 쓰면 라인을 못 쓰듯이 끝나는 거잖아요. 그러니까 이 시장을 내주지 않는 거예요. 시장 개방을 하지 않는 거죠. 왜? 인터넷 사업 특성상 그 시장이 굉장히 커질 수 있기 때문에요.
중국은 워낙 인구가 많기 때문에 경제 성장을 할 수 있는 아주 좋은 환경입니다. 그리고 이제 막 발전해 나가고 있기 때문에요. 지금 중국에서 젊은 사람들은 모두 인터넷 사용하지 않습니까. 미국을 견제했기 때문에 스마트화가 되는 거잖아요. 미국은 구글, 페이스북 등 소프트 산업들이 전 세계로 뻗어나갔어요. 중국 시장만 겨냥 못 했지, 나머지는 다 끝난 거잖아요. 그러나 인터넷 시장에서 미국이 중국을 이기기가 쉽지 않아요. 중국 기본 인구가 미국보다 훨씬 많기 때문에요. 미국은 3억 명밖에 안 되는데, 중국은 15억 명 가까이 됩니다. 이건 견제하기가 쉽지 않아요. 그래서 인터넷 시장에서 중국이 훨씬 더 빠르게 커질 수 있는 거예요. 국가 자체가 워낙에 많은 인구 수를 통해 데이터를 확보하기 좋은 조건이잖아요.
그럼 미국이 견제할 수 있는 부분이 뭘까, 그리고 앞으로는 뭐가 중요할까? 결국 미국이 중국에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기업들이 중요한 겁니다. 왜냐하면 인터넷 산업에서는 중국을 견제하기 어렵거든요. 내수 시장 자체만으로 그 인구가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데이터 확보가 어마어마한 거죠. 미국은 글로벌로 뻗어나가야 되는데, 중국은 뻗어나가지 않아도 대단한 거예요. 미국이 지금 하드웨어 기업들 견제하잖아요. 엄청난 잠재력이 있기 때문에 견제하고 있는 거거든요. 저는 하드웨어 시장이 온다고 봅니다. 소프트웨어 산업은 지금 워낙 커져서 성장률 자체는 줄어들 거라고 보고요. 33억 명의 인터넷 인구 수에서 이미 23억 명이라는 인구수가 페이스북에 가입이 되어 있어요. 그러니까 여기서 더 늘어나기가 쉽지 않아요. 성장성이 나오기 어렵죠.
그래서 자율 주행, AI, 머신러닝 등을 위해서 케펙스 투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역전 상황이 나오고 있는 거죠. 그러니까 소프트 산업들은 돈 버는 거에 비해 케펙스가 낮았었는데, 지금은 돈도 많이 벌지만 케펙스의 비율 자체가 늘어나고 있어요. 소프트 산업들이 겪고 있는 비용 증가 부담입니다. 그렇다면 케펙스에 투자하면 무엇을 산다는 거고, 어디 투자한다는 건데 "그 수혜를 누가 볼까?" 바로 우리나라 반도체 회사들이 수혜를 받기 때문에 지금처럼 돈을 번 겁니다. 그럼 "우리나라 반도체 회사는 케펙스가 줄어들 수 있을까?" 과거는 돈 버는 것만큼 케펙스를 썼었어요. 그런데 지금 돈은 많이 벌고 케펙스가 비율로는 줄어든 상태에요. 그러니까 잉여 현금이 쌓이는 거죠. 소프트웨어 기업이랑 하드웨어 기업이 서로 역전되고 있는 겁니다.
그러니 하드웨어 산업이 중요한 산업이 된 거고, 고 밸류에이션을 받게 된 겁니다. 엔비디아, 반도체 회사 아닙니까. 근데 PER 7~80배, 100배까지 갔었어요. 하드웨어 기업이 어떻게 그렇게 갑니까. 물론 지금 다시 반 토막이 났지만, 지금도 밸류에이션은 높아요. 독점기업이니까 프리미엄을 받았다고 볼 수 있는데, 그러면 왜 과점시장은 프리미엄을 못 받냐고요. 지금 왜 극심한 저평가를 받습니까.
미국이 견제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그 부분, 꼭 인지하고 있어야 됩니다. 이건 엄청난 잠재력이 있는 산업이기 때문에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고 있는 거예요. 그래야 기술 패권을 유지할 수 있는 거죠. 인터넷 사업으로 기술 패권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하드웨어 쪽으로 시비를 걸고 있는 겁니다. 그래서 제가 미국이라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거고요. 만약, 영국이나 일본이었다면 그들이 중국에게 뭐라고 할 수 있겠어요? G2 국가니까 미국밖에 할 수가 없어요. 그게 다행이라는 거죠. 또 우리나라가 잘 하고 있는 반도체 산업을 미국도 잘 하고 있잖아요. 그러니까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면 우리나라가 그 옆에서 수혜를 볼 수 있는 거고, 저는 여기에 잠재력이 있다고 봅니다. 미국은 그 잠재력을 알고 견제를 하는 거죠. 중국 정부가 미국의 인터넷 기업들을 견제한 것처럼. 아시겠죠? 참고해서 판단하면 좋을 것 같아요. 12월 얼마 안 남았는데, 연말 이벤트 진행 중이니까 전화번호 많이 남겨주세요! 혜택 많이 드리겠습니다. 또 이 링크를 클릭하면 무료로 리딩 받을 수 있으니 많이 클릭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https://blog.naver.com/jjsstock/221412962208'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아스템 종목분석] 18년 12월 20일 (0) 2018.12.21 [대한유화 종목분석] 18년 12월 20일 (0) 2018.12.21 [아프리카TV 종목분석] 18년 12월 19일 (0) 2018.12.20 [신라젠 종목분석] 18년 12월 19일 (0) 2018.12.20 [인바디 종목분석] 18년 12월 19일 (0) 2018.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