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산화 핵심 품목 포토레지스트(PR) 국내 유일하게 공급, 주 매출처가 삼성전자인 동진쎄미켐 주가는?뉴스&리포트 분석 2020. 7. 30. 14:11
[ 동진쎄미켐주가]
- 반도체 및 TFT-LCD의 노광 공정에 사용되는 Photoresist 관련 전자재료 사업과 사업용 기초소재인 발포제 사업을 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반도체 및 평판디스플레이용 감광액과 박리액, 세척액, 식각액 및 태양전지용 전극 Padte 등 전자재료를 제조업체에 납품합니다.
- 인천광역시 서구 백범로에 본점 및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시흥시에 제조 시설을 가지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중국 및 대만에 현지법인 두고 있었습니다.
↓ 실시간으로 주식 관련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는 텔레그램.
↓ 클릭해주세요!!
절제주식투자연구소
You can view and join @jjsstock right away.
t.me
[동진쎄미켐주가 관련 사업내용]
① 국내 전자재료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포토레지스트(PR, 감광액)와 시너, 스프리퍼, 에천트 등 Wet xhemixal을 전자재료를 전문적으로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이며, 일본 수출규제 때문에 고순도 불산 가스는 여러 기업이 국산화를 제작하는데, 포토레지스트(PR)은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동진쎄미켐만 공급합니다.
- 반도체 소재의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이며, 디스플레이 소재 주요 매출처는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 등 몇 개 회사로 한정되는 국내 시장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최근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중국 디스플레이 제조사들의 신규 투자 및 신규 공장들의 정상가동은 동진쎄미켐의 매출 증대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중국의 경우 BOE, CSOT 등 중국 디스플레이 제조사와 국내 디스플레이 제조사의 중국 8세대 공장들의 가동률 증가, 증설로 인해 자사 제품에 대한 수요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또한, TV 패널 사이즈 대형화로 10세대 이상 디스플레이 신규 공장 투자가 예상돼 디스플레이 재료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 기존 수입에 의존해왔던 다양한 종류의 원자재를 국내의 동종 업체와 공동 개발하여 국산화하는데 성공하였고, 직접적으로 원자재를 합성, 용해, 정제할 수 있는 당사의 계열사를 갖춤으로써, 경쟁사 대비 가격, 품질, 운송 등에서 경쟁 우위에 있습니다.
-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등 반도체 및 평판디스플레이 제조 업체에 관련 감광액 등 전자재료 제품 공급에 대한 기본 계약에 의해 매월 평균 679억 정도 공급 중입니다.
② 발포제 사업 부문
- 소수 업체가 과점체제로 공급하며, 장치산업으로 진입 시 대규모의 시설자금이 필요한 만큼 신규진입이 많이 어려움. 고부가가치를 형성하는 고급 제품용에서의 우위와 중국 내 환경규제에 따른 중국 저가품들의 약화 등으로 향후 꾸준한 매출 증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산업용 기초소재인 발포제는 중계무역 등을 통해 국내, 외 거래선에 매월 평균 70억 정도 공급 중입니다.
[동진쎄미켐주가 관련 알면 좋은 뉴스들]
① 주 매출처인 삼성전자가 3D 낸드플래시 생산 시 2021년 172단 공정부터 낸드 2개를 이어붙이는 '더블스태킹'방식을 도입한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마스크 기판 사용도 시장 평균치보다 더 늘릴 예정이며, 그럼 KrF(불화크립톤), 에칭 장비 등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수요 증가로 이어져서 KrF용 포토레지스트(PR)를 주력 상품으로 하는 동진쎄미켐 매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 주 매출처 :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
* 마스크 : 노광기술(전자회로를 반도체 기판에 그려 집적회로를 만드는 기술)을 활용해 반도체 미세회로를 그리는 유리 기판.
② 신규 소재인 ArFi(불화아르곤 액침)용 포토레지스트(PR)는 단가와 마진이 매우 높지만 일본 기업이 과점하고 있는 시장이어서 올해 1분기 기준으로는 동진쎄미켐 매출액 중 5% 정도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근데 올해 국내 고객사 내 점유율을 높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③ 지속적인 정부 지원책도 있습니다. 올 초 정부 지원(공장 증설용 토지에 대한 신속한 용도변경 등)을 바탕으로 포토레지스트 생산 공장을 증설해 2021년 국내 생산량을 현재 대비 2배 가까이 늘릴 것으로 추정됩니다.
[동진쎄미켐주가 차트]
- 일본 수출규제로 수입에 의존했던 것 들을 국산화하는데 그중 국산화 핵심 품목인 포토레지스트(PR, 감광액)을 유일한 공급 업체라고 합니다. 그러니 일본 수출규제 국산화 관련 뉴스랑 일본이랑 한국 관계 등을 체크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주 매출처인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과 관련된 뉴스도 좋습니다. 이 글은 동진쎄미켐주가 및 분석 시 참고 부탁드립니다.
'뉴스&리포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오티베큠, 반도체 전공정 건식진공펌프. 삼성 소부장주로 상승 지속 (0) 2020.07.30 에스앤에스텍 주가, 삼성전자 반도체 성장과 함께 가는 기업 (0) 2020.07.30 폭우와 집값 상승의 수혜주! 인선이엔티주가 예상합니다! (0) 2020.07.30 간이 인공호흡기 관련주 테라사이언스 주가. 삼원테크 주가 상호 변경 회사! (0) 2020.07.30 우주발사체 관련주, 고체연료 관련주, 인공태양 관련주로 부각돼 급등한 비츠로테크 주가. (0) 2020.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