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근당 종목분석] 추매 및 손절선 정해 드림. 변수가 너무 커!주식 종목분석 2020. 2. 5. 15:00
※본 포스팅은 절제주식투자연구소에서의 종목분석 내용입니다. 해당 분석 정보는 종목 자체의 미래적 악재(기업 운영상 문제)는 배제한 현재 시점까지 분석이며 수익적 정답지는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절제주식투자연구소 연구원입니다.
종목명 종근당 / 평단가 95,000원 / 투자금액 9천만 원 / 비중 77%
관련주: 한미약품 / 현대약품 / 한국유니온제약
현재 우한 폐렴으로 시장 어려웠으나, 어제와 오늘 바닥을 확인하는 상승으로 시장은 서서히 안정을 찾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2월 3일 저점이 현재 시장에 바닥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한 사태 때문에 당분간 시장은 변동성이 심한 시장이 될 것으로 생각되고, 주도주는 당분간 조정 받으며 상승 흐름 이어갈 것으로 판단됩니다.
기업개요
- 항바이러스제 타미플루, 당뇨병치료제 자누비아, 고혈압치료제 딜라트렌, 뇌혈관질환치료제 글리아티린, 고지혈장 치료제 리피로우, 골관절염 치료제 이모튼 등 다양한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제약업체. 종근당의 의약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2013년 12월 상장됨. 표적항암제(CKD-581, 516), 자가면역질환 치료제(CKD-506), 헌팅턴 치료제(CKD-504), 바이오신약(CKD-702) 등 다양한 신약개발 임상을 진행 중.
- 최대주주는 (주)종근당홀딩스 외(36.6%),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공단(11.53%), 고촌재단(6.78%).
전문의약품
자체개발 신약인 항암제 캄토벨, 당뇨병치료제 듀비에를 비롯하여 항고혈압제 딜라트렌과 텔미누보, 고지혈증치료제 리피로우, 면역억제제 타크로벨 등 다양한 효능군의 전문의약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일반의약품
- 대한민국 대표 두통약 펜잘, 국내 1위 구충제 젤콤, 효과 빠른 소화제 속청 등이 오랜시간 동안 사랑을 받아 왔습니다. 최근에는 고함량 비타민 벤포벨을 발매하면서 30~40대 직장인들에게 피로회복제품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 자사의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락토, 고함량 · 고농축의 명작 프리미엄 오메가3 등 바쁜 일상 속 현대인들의 건강을 지키는 고품질의 건강기능식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매출 비중, 자누비아 13.37 %, 글리아티린 5.73 %, 아토젯 5.08 %, 달라트렌 4.49%, 기타 71.33%.
기본적 분석
- 2016~2019년까지 꾸준한 성장세 지속하고 있고, 2020년 역시 기대되는 한 해가 될 것 같습니다.
- 2019~2021년까지 컨센서스 좋게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시점은 변수에 의해서 힘든 시장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큰 폭 조정 시 당연히 매수 좋습니다!! 매수가 궁금하시면 언제든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관련섹터 분석
- 백신 및 조류인플루엔자(AI) 등의 치료제에 대한 연구개발/제조/판매 업체들과 예방관련 진단 및 방역 업체들. AI, 사스(SARS), 광우병 등의 전염병이나 괴질 등 각종 질병 발생과 관련한 이슈 발생시 부각되는 경향이 있음.
- 인간 생명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의약품)을 개발, 생산, 판매하는 업체. 일반의약품은 경기변동과 계절적 요인에 다소 영향을 받는 편이지만, 전문의약품은 경기 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음. 한편, 제약업체는 제품 개발에서 비임상, 임상시험, 인허가 및 제조, 유통, 판매 등 전 과정을 국가에서 엄격히 규제받고 있음.
- 유전자 재조합이나 세포배양기술을 통해 생산되는 호르몬과 단백질 등을 의미하는 바이오 의약품의 복제제품. 일반 화학 합성약과는 달리 바이오신약은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과정도 동식물 세포나 조직을 활용하여 완벽한 복제가 어렵기 때문에 고도기술로 평가 받고 있음. 09년 6월 지식경제부 주관 신성장동력 스마트 프로젝트에 삼성전자 컨소시엄이 바이오시밀러 관련 과제를 제출하면서 시세를 분출함. 원천기술을 확보했거나 관련 의약품 연구 및 의약품을 생산하는 기업군.
- 치매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한 뇌손상에 의해 지능, 의지, 기억 등 여러 인지기능의 장애가 생겨 예전 수준의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함. 2017년 정부가 서민생활 안정을 위한 "치매 국가책임제"를 공식화함에 따라 부각. 한편, 2018년2월 정부는 2020년부터 2029년까지 치매연구개발사업에 1조1,054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힘.
주요 투자 포인트
- 동사는 2020년 주요 제품의 매출성장에 따라 마진율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나, 늘어나는 연구개발비용(2020년 판관비 3,982억원 추정)에 따라 이익 성장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R&D에서의 성과만 있다면 영업이익의 성장 또한 다시 기대해 볼만하다.
- 동사는 4분기 매출액 2,978억원, 영업이익 211억원으로 당사추정치 및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하였다. 1) CKD-506, CKD-510 등 임상 진행에 따른 경상연구개발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광고선전비 및 기타 판관비 감소, 2) 기존제품 및 신제품 판매 증가에 따른 매출 확대로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14.4%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하였다. 기존제품에서는 프리베나, 프롤리아 등이 크게 성장하였다. 신제품 케이캡(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은 런칭 첫해임에도 불구하고 총 매출액 328억원을 달성하였고, 올루미언트, 미니린, 머시론 등의 신제품 매출도 증가하였다.
- 동사의 임상 파이프라인, CKD-506(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은 유럽 임상 2상, CKD-504(헌팅턴치료제)는 한국/미국 임상 1상 중이다. 빈혈 치료제 네스프 바이오시밀러(CKD-11101)는 국내 및 일본 판매가 시작되었다. 연내 이중항체(EGFR/c-Met)를 이용한 폐암치료제(CKD-702)는 미국 전임상 종료되어 국내 임상 1상 준비 중(IND신청 예정)이며, CKD-516(항암제)은 면역항암제 병용 국내 전임상 진행 중, 이리노테칸 병용 국내 임상 3상(대장암) 준비 중이다.
- 올해 CKD-506 임상 2상 Topline 결과 발표가 기대되며, HDAC6 플랫폼과 이중항체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신약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어 기술이전을 통한 플랫폼 가치 입증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기술적 분석
- 차트를 보면 2019년 08월 저점을 찍고 반등, 10월 관련 주 상승에 강하게 중기 장기 이평선 돌파 그리고 12월 중순까지 조정 그리고 제차 반등 현 위치 93,200원 위치하고 있다. 현재는 중기 이평선 위에서 상승하려고 모멘텀을 찾는 중으로 보여집니다. 90,000원 이탈 손절, 그리고 재매수 노려 보시기 바랍니다. 매수 시기 궁금하시면 언제든 물어보셔도 좋습니다. 특히 장중에 들어오셔서 물어보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급락! 코스피 급등 주식분석] 테슬라 버블 적중! 코스피 급등 이유! (0) 2020.02.06 [글로벌 증시 반등! 우한폐렴 완화? 주식분석]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대응전략! 시황 중심 잡기! 꼭 보세요 (0) 2020.02.06 [글로벌 증시 급등 주식분석] 코스피 급등! 추가 상승이 어려운 이유! (0) 2020.02.05 [리노공업 종목분석] 연간 목표는 달성 가능. 지금 잘 버텨야 해! (0) 2020.02.04 [종근당홀딩스 종목분석] 건기식이 뜨죠? 추매는 언제 할까? (0) 2020.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