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증시 종목분석] 매일 빠지는 미 증시. 하락장 시작일까? 꼭 봐주세요.주식 종목분석 2018. 12. 24. 14:04
※본 포스팅은 위 영상을 타이핑하였습니다.
반갑습니다. 절제주식투자연구소 전문가 절제의신입니다.
최근 변동성이 가장 큰 미국 시장에 대해서 얘기해보겠습니다. 하루에 2%씩 빠지는 게 유행인 듯 미 증시가 폭락하고 있습니다. 제가 미국 시장은 연초부터 조정에 들어갔다고 얘기했죠. 연초에 얘기했던 것을 다시 그대로 해볼게요.
미국이 상승했던 배경에는 세 가지 무기가 있다고 했습니다. 그 세 가지가 트럼프의 대규모 감세정책, 저금리 효과, 강한 경제 회복이었습니다. 연초만 하더라도 경기가 워낙 좋았죠. 모든 경제지표가 좋게 나왔으니까요. 그런데 제가 올 초에 무기 두 개를 잃었다고 했습니다. 감세 효과로 인한 성장은 제한적이고, 저금리 효과도 연 4회 인상하여 없어진 거죠. 그래서 미국이 과거처럼 상승하기는 어렵다고 봤습니다. 그런데 하반기까지 와서 보니 경기둔화까지 되고 있는 겁니다. 그래서 미국 시장의 변동성이 연초보다 커졌다고 봅니다.
하반기 돼서 보니 세 가지 무기가 전부 없어진 거예요. 이러니 좋고 싶어도 좋을 수가 없죠. 미중 무역협상 관련해서도 아직 해결된 게 없는 상황이고요. 그래서 저는 조정에 들어가야 하는 미국 시장이 건강하게 조정 받고 있다고 봅니다. 이에 대해서 폭락이 나올 수 있냐는 의문에 대해서는 제한적이라 판단합니다. 미국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게 금리 이슈와 경기둔화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경기둔화는 극단적인 걸 말하는 걸까요? 완만한 성장률 둔화라고 표현하는 게 맞을 거 같아요.
하반기 돼서 보니 세 가지 무기가 전부 없어진 거예요. 이러니 좋고 싶어도 좋을 수가 없죠. 미중 무역협상 관련해서도 아직 해결된 게 없는 상황이고요. 그래서 저는 조정에 들어가야 하는 미국 시장이 건강하게 조정 받고 있다고 봅니다. 이에 대해서 폭락이 나올 수 있냐는 의문에 대해서는 제한적이라 판단합니다. 미국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게 금리 이슈와 경기둔화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경기둔화는 극단적인 걸 말하는 왜냐면 올해 6월만 하더라도 미국 GDP 성장률이 4%대까지 상승했었습니다. 그리고 9월에 3%까지 내려온 건데, 지금은 2%대로 낮아졌어요. 그럼 완만한 성장세로 들어가는 거죠. 과거의 수준으로 회귀하는 거지 극단적인 경기둔화는 아닌 것 같습니다. 그래서 미국 금융시장에서도 하락보다는 박스권 움직임이 합리적이라 보는 것이죠.
그런데 최근에 FOMC 회의 이후에 변동성이 커졌습니다. 여기서 금융시장이 싫어하는 점진적인 인상을 하겠다는 얘기와 GDP가 하향을 하니 우려스러움에 그랬던 것 같습니다. 이는 금융시장의 악재는 분명히 맞습니다. 금리 인상을 계속하겠다는 건 산업 측면에서 기업들 자금조달할 때 비용이 증가하는 것이고, 금융시장 측면에서는 유동성 축소가 되는 것 아닙니까? 금리가 올라갈수록 유동성은 잠기는 거니까 좋지 않은 거죠. 그리고 대출과 레버리지를 써야 투자도 늘고 소비도 늘어날 텐데 장단기 금리 차이가 축소된다는 얘기잖아요? 단기금리가 더 비싼 거죠. 그러면 누가 단기적으로 레버리지를 사용하겠습니까? 대출을 안 하려 할 것이고, 자금조달도 하지 않을 겁니다. 그래서 유동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거고, 기업들 입장에서 투자를 지연시키는 이슈가 되는 거죠.
다만, 저는 금융시장이 이렇게 떨어졌다고 해서 연준이 19년 금리 조절을 많이 하기는 어려울 거라고 봅니다. 그리고 트럼프가 금리 인하하라고 연준을 압박하는데, 트럼프 말대로 금리를 연 3회에서 1회로 줄였다면 좀 그랬을 거 같아요. 19년 컨센서스를 2회로 줄였는데, 저는 시간이 좀 지나면 1회로 줄어들 수도 있다고 봅니다. 인사 ㅇ시기를 2회로 줄였기 때문에 최소 6일 이후라고 봐야 합니다. 저는 이 이슈가 길게 봤을 때는 호재라고 봅니다.
그리고 빠른 금리 인상 시기에서 수준을 낮추는 시기가 있었습니다. 가장 최근이 2005년이죠. 2005년에 빠르게 금리를 올렸고 2006, 07년에 천천히 금리를 인상했습니다. 이 구간에 금융시장에서 굉장히 큰 반등이 나왔거든요. 이를 감안하여 지금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정하여 상당히 오랜 기간 금리 인상 폭을 수평으로 유지하며 천천히 하면 금융시장이 꼭 약세장으로 가지는 않을 겁니다.
미국 시장은 하락하지 않을 수 있어요. 반등이 가까워진 것 같고, 박스권 대응하시길 바랍니다. 늦었지만 크리스마스가 지나고 뒤늦은 산타랠리도 나올 수 있어요. 너무 걱정 말고 안 좋은 뉴스보다는 좋은 뉴스가 많아질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내년에 미북 정상회담도 있지 않습니까> 경협 관련된 좋은 뉴스도 나올 수 있고, 실질적인 조치로 이어진다면 우리나라가 조금은 프리미엄을 얻을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거니까 이런 부분 감안해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미국 시장은 하락하지 않을 수 있어요. 반등이 가까워진 것 같고, 박스권 대응하시길 바랍니다. 늦었지만 크리스마스가 지나고 뒤늦은 산타랠리도 나올 수 있어요. 너무 걱정 말고 안 좋은 뉴스보다는 좋은 뉴스가 많아질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내년에 미북 정상회담도 있지 않습니까> 경협 관련된 좋은 뉴스도 나올 수 있고, 실질적인 조치로 이어진다면 우리나라가 조금은 프리미엄을 얻을 수 있는미국 시장은 과거보다 완만한 성장이라는 거지 성장이 멈춘 게 아닙니다. 성장 둔화라는 것은 어쨌든 성장은 한다는 거죠. 이런 측면에서 미국 시장도 반등을 기대해보세요. 그리고 신흥국인 우리나라도 거품도 없고, 금리도 낮고, 우리나라 통화의 강세도 외국인들이 들어올 수 있는 환경이 되는 것이죠. 그리고 달러가 약해질 수 있는 근거로 장기국채 수익률이 계속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 뜻은 앞으로 금리가 천천히 올라갈 것을 얘기하는 것이죠. 이 뉴스는 신흥국에서 절대 나쁜 뉴스가 아닙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이 꼭 똑같이 움직인다고 보실 필요 없습니다. 고맙습니다.
더 좋은 팁 원하세요? 더 좋은 분석 원하세요? 실시간 종목 원하세요? 그럼 클릭하세요! https://blog.naver.com/jjsstock/221412962208
'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건설 종목분석] 18년 12월 24일 (0) 2018.12.26 [KG모빌리언스 종목분석] 18년 12월 24일 (0) 2018.12.26 [필룩스 종목분석] 18년 12월 21일 (0) 2018.12.24 [호텔신라 종목분석] 18년 12월 21일 (0) 2018.12.24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종목분석] 컨퍼런스 콜에서 주목해서 봐야 할 몇 가지 내용 정리! 꼭 보세요! (0) 2018.12.21